[이것이 코딩테스트다 with Python]02.게임 개발

1 분 소요

문제
게임의 맵은 N x M 형태의 직사각형이고 맵의 각 칸은 (A, B)로 나타낼 수 있고 A는 북쪽으로부터 떨어진 칸의 개수, B는 서쪽으로부터 떨어진 칸의 개수이다. 캐릭터는 상하좌우로 움직일 수 있고, 바다로 되어 있는 공간에는 갈 수 없다. 캐릭터의 움직임을 설정하기 위해 정해놓은 메뉴얼은 이렇다.

  • 현재 위치에서 현재 방향을 기준으로 왼쪽 방향(반시계 방향으로 90도 회전한 방향)부터 차례대로 갈 곳을 정한다.

  • 캐릭터의 바로 왼쪽 방향에 아직 가보지 않은 칸이 존재한다면, 왼쪽 방향으로 회전한 다음 왼쪽으로 한 칸을 전진한다. 왼쪽 방향에 가보지 않은 칸이 없다면, 왼쪽 방향으로 회전만 수행하고 1단계로 돌아간다.

  • 만약 네 방향 모두 이미 기본 칸이거나 바다로 되어 있는 칸인 경우에는, 바라보는 방향을 유지한 채로 한 칸 뒤로 가고 1단계 돌아간다. 단, 이때 뒤쪽 방향이 바다인 칸이라 뒤로 갈 수 없는 경우에는 움직임을 멈춘다.

입력 조건
첫째 줄에 맵의 세로 크기가 N과 가로 크기 M을 공백으로 구분하여 입력한다.(3 <= N, M<=50)
둘째 줄에 게임 캐릭터가 있는 칸의 좌표(A,B)와 바라보는 방향 d가 각각 서로 공백으로 구분하여 주어진다.
방향 d의 값으로는 다음과 같이 4가지가 존재한다.

  • 0: 북쪽
  • 1: 동쪽
  • 2: 남쪽
  • 3: 서쪽

셋째 줄부터 맵이 육지인지 바다인지에 대한 정보가 주어진다. N개의 줄에 맵의 상태가 북쪽부터 남쪽 순서대로, 각 줄의 데이터는
서쪽부터 동쪽 순서대로 주어진다. 맵의 외괵은 항상 바다로 되어 있다.

  • 0: 육지
  • 1: 바다

처음에 게임 캐릭터가 위치한 칸의 상태는 항상 육지이다.
출력조건: 첫째 줄에 이동을 마친후 캐릭터가 방문한 칸의 수를 출력


입력 예시
4 4
1 1 0
1 1 1 1
1 0 0 1
1 1 0 1
1 1 1 1

출력 예시
3


구현에 앞서 값들을 받아오는 작업을 수행해야합니다.


n,m = map(int, input().split())